어렵지 않은 개념인데, 확실하게 정리해두지 않으면 이걸 써먹는데 좀 헷갈리는 경우가 있다.

이번 기회에 제대로 정리를 하려고 한다.

먼저 PBR부터 정리하자. 주가 장부가 비율이라고 불리는 PBR은 이렇게 계산한다.

PBR = P(시가총액) / 순자산가치(총자산-총부채)

이게 무슨 의미냐 하니, 기업이 가진 순자산에 비해서 현재 기업이 평가받는 시가총액이 몇 배나 되는 것이냐는 게 바로 PBR의 개념이다. 예를 들어, PBR이 1이라는 것은 지금 기업이 보유한 순자산과, 시가총액이 동일하다는 것이다.

가령 기업이 보유한 총자산(현금, 건물 등)이 1억이고, 부채가 5천만원이면, 순자산가치는 1억-5천만원=5천만원이다.

그런데 현재 기업이 100주의 주식을 발행했고, 그 주식에 대해 형성된 가격이 50만원이면, 기업의 시가총액은 5천만원. 이 경우 PBR은 1이 된다.

따라서 만약 PBR값이 1보다 작다는 것은, 현재 기업의 시가총액이 기업이 실제로 보유한 순자산가치보다도 작다는 의미가 된다. 만약 기업이 운영하는 사업이 수익성이 좋고, 앞으로 망할 것 같지도 않은데 PBR이 1보다 작다는 것은, 현재 시장에서 저평가 받고 있다는 의미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문제가 있다. 순자산가치는 회계기준에 의해서 계산되는데, 이 회계기준이 기업의 순자산가치를 온전하게 계산하는 데 유용한가의 문제가 그것이다. 만약 회계기준에 따라 계산된 자산은 과대평가 되어있고, 부채는 과소평가 되어있다면, 순자산가치는 높은 값으로 계산될 것이고, 이에 따라 계산된 PBR은 역시 낮게 계산될 것이다.

즉, 낮은 PBR은 신뢰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PER의 경우 이렇게 계산된다. PER= P / Earning(순이익), 두 값을 주식수로 나누면 1주의 가격 / 주당 순이익(eps)가 될 것이다. 어느 방식으로 계산하던지 , per값은 동일하다.

이를 말로 풀어쓰면, 현재 기업이 벌어들이는 순이익의 몇 배를 벌면, 이 기업이 평가받는 시가총액반큼의 돈이 될 것이냐는 것이다. 즉, 만약 per이 10이고, 연간 순이익이 1이라면(그리고 이 추세가 계속 이어진다면), 기업은 10년동안 돈을 벌면 똑같은 기업을 하나 더 살 수 있는 돈을 번다는 의미가 된다. 따라서 per이 낮다는 것은 벌어들이는 순이익에 비해 기업의 시가총액이 낮다는 것이므로, 저평가된 per은 현재 주식가격이 저렴하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도 있다. 

그러나 기업의 평가를 단순히 per가 낮다는 것만으로 지금 주가가 저렴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기업의 가치는 이 외에도 다양한 요소에 의해서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per을 이해하는 또 다른 예를 생각해보자.

만약 매매가격이 10억인 건물이 한 채 있다고 가정하자. 이 건물을 가지고 있으면, 1년에 임대수익으로 1억을 벌 수 있다는 가정을 하면, 수익률 관점에선 10억/1억 => 10%의 수익으로 볼 수 있다. 이걸 per 10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자산의 관점에서 이를 해석하면 좀 다른 결론이 나온다. 이 경우, 나는 1년에 1억을 버는 자산을 10억을 주고 산 것이다. 수익의 10배에 달하는 비용을 지출한 것이다. 그만한 가치가 있는 것인지를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per의 경우 순이익을 계산해야 하는데, 이는 기업의 손익계산서를 통해 도출되는 값이다.(순이익) 순이익은 기업이 조작을 가할 경우 곧바로 국세청, 회계감사에서 발각될 여지가 많다. 따라서 기업은 웬만해선 순이익을 조작하려고 하지 않는다. 그래서 per과 pbr중 뭐가 더 기업의 상태를 잘 나타내냐고 보았을 때, 전자의 경우가 더 낫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이 때문에 흔히들 per이 낮은 기업은 저평가되어있다는 이야기를 하기도 한다.

+ Recent posts